프로젝트 학습에서 팀의 구성


  소집단 크기는 2~6명이 적당하다. 7명 이상의 경우에는 수동적이거나 소외되는 학습자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습 시간이 적을 때에는 소집단 크기를 작게하는 것이 좋고 학업 성취면에서 학습의 구성원을 이질적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아울러 단순하게 집단을 나누는 것보다는 정확한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 독점하거나 소외되는 학습자를 최소화할 수있다. 팀에서 학습자 역할 분담의 예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요약, 점검자 : 소집단 학생들의 학습 과제 이해 정도를 점검
② 연구, 정보 조달자 : 필요한 교재의 조달 및 다른 소집단, 교사와 의사소통
③ 기록자 : 소집단의 결론, 결정을 기록하고 정리
④ 격려자 : 소집단 구성원의 공헌에 격려하기
⑤ 관찰자 : 소집단이 서로 어떻게 협력하는지를 관찰하고 협동을 유지

   프로젝트 유형 웹기반 수업을 진행할 때 교사는 수업의 목표를 선행학습과 관련하여 설명하는 것이 좋으며 개념을 정의하고 절차를 설명하며, 학습과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예를 제시한다. 또한 학습과제의 유형에 따라 평가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프로젝트 학습에서 과제의 분류

 

① Retelling Tasks - 바꾸어 말하기

학습자가 알고 있는 것을 프리젠테이션 도구 등을 이용하여
학습자 입장에서 재정리하여 발표하는 과제

 

 

 

② compilation Tasks - 편집하기

수집된 그림이나 텍스트를 이용하여 자료집을 편찬하는 활동

 

 

 

 

③ Mystery Tasks - 추리하기

신비에 쌓인 대상을 탐구하거나 추리하는 과제

 

 

 

④ Journalistic Tasks - 기사 작성

객관적 사실을 수집하여 기사로 작성하는 활동

 

 

 

⑤ Design Tasks - 설계하기

산출물을 보다 체계적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계획하고 준비하는 과정

 

 

 

 

⑥ Creative Product Tasks - 산출물 제작하기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여 산출물을 제작하는 활동

 

 

⑦ Consensus Building Tasks - 의견조정하기

각기 다른 의견을 서로 조율하고 이해를 구하는 활동

 

 

⑧ Persuasion Tasks - 설득하기

타인에게 본인이 가지고 있는 생각을 말하고 설득하는 활동

 

 

 

⑨ Self-Knowledge Tasks - 자기발견 과제

도덕적 이슈나 개인의 책임에 대한 성찰을 통하여 자기를 발견해 가는 활동

 

 

 

 

⑩   Analytical Tasks - 분석하기

주어진 주제에 대하여 분석하고 표 등으로 나타내보는 활동

 

 

⑪ Judgment Tasks - 판단하기

어떤 사건이나 주제에 대하여 판단하고 평가하는 활동

 

 

 

⑫ Scientific Tasks - 과학적 과제

여러 가지 알려진 사실들에 대하여 과학적 실험이나 관찰을 통하여 검증하는 활동

 

 

관련사이트

 

        이전으로    처음으로 

홈으로